fnctId=profl,fnctNo=240 게시물 검색 검색하기 이름 직위(직급) 연구분야 인물소개 리스트 조준범 직위(직급) 교수 연구분야 도시계획/도시설계 전화번호 061-450-2221 이메일 chaniran@mnu.ac.kr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71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조준범 메일 보내기 조준범 직위(직급) 교수 이메일 chaniran@mnu.ac.kr 연구분야 도시계획/도시설계 전화번호 061-450-2221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71호 학력 1997 ~ 2003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공학박사) 1994 ~ 1996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공학석사) 1987 ~ 1994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공학사) 경력 2022. 12 ~ 현재 목포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2004. 3 ~ 현재 목포대학교 도시및지역개발학과 교수 2019. 8 ~ 2021.1 University of Colorado at Denver, Visiting Scholar 2010. 7 ~ 2011.12 University of Colorado at Denver, Visiting Scholar 2003. 9 ~ 2003.12 서울시립대학교 시간강사 2003. 7 ~ 2004. 2 서울시립대학교부설 도시과학연구원 연구원 1996.12 ~ 2001.12 서울연구원 도시계획설계연구부 위촉연구원 위원회 2021.10. ~ 현재 전라남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21.10. ~ 현재 전라남도 수자원관리위원회 위원 2018. 3. ~ 2019. 2. LH 기술심사평가위원 2018. 2. ~ 2019. 2. 전라남도 지방하천관리위원회 위원 2017. 2. ~ 2019. 7. 전라남도 사전재해영향성검토위원회 위원 2017. 1. ~ 2018.12. 광주광역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16. 4. ~ 2018. 4. 신안군 경관위원회 위원 2016. 4. ~ 2018. 4. 영암군계획위원회 위원 2016. 2. ~ 2018. 2. 무안군 군계획위원회 및 공동위원회 위원 2016. 1. ~ 2018. 1. 영산강·섬진강 가꾸기 참여위원회 위원 2015.11. ~ 2018.10. 강진군 군계획위원회 및 공동위원회 위원 2015. 4. ~ 2018.12. 강진군 성전면 농촌중심지활성화(선도지구) PM단장 2015. 3. ~ 2019. 3. 함평군 도시계획위원회 및 공동위원회 위원 2014.10. ~ 2018.10. 목포시 도시재생위원회 위원 2014. 4. ~ 2018. 3. 영산강유역환경청청 환경영향평가전문가자문단 위원 2009. 1. ~ 2017. 1. 전라남도 공공디자인위원회 위원 학회 2022. ~ 현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광주전남지회장 2022. ~ 현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상임이사 2013. ~ 현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이사 2018. ~ 2019 한국도시설계학회 편집위원회 위원 2016. ~ 2019 한국도시설계학회 이사 2008. ~ 2009 한국도시설계학회 이사 연구논문 및 저서 2021.12 미국 덴버 형태기반코드(FBCs)의 특성 분석 : 도시형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3권 6호 (통권106호), pp.83p~93p 2019.4 전라남도의 인구감소에 따른 농촌중심지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21권 2호 (통권90호), pp.9~16 2016.6 서울 안암동 도시한옥의 내외부 공간변화 양상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지 제18권 제3호 (통권73호), pp.21~28 2014.11 인구감소 지역의 난개발 수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전라남도 읍면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권 4호, 15p~34p 2014.4 전라남도 지역 및 도시개발정책의 지방자치 성과와 한계 : 전라남도 난개발 특성 및 도시계획적 대응실태를 중심으로, 2014 한국 정치학회 춘계특별학술회의 2016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전남의 난개발 실태와 도시계획적 대응”, 지방자치20년의 성과와 과제: 전남을 중심으로, 폴리테이아 연구과제 2018, 비금·도초 지속가능개발계획수립, 신안군 2018, 무안군 해안관광일주도로 개발계획수립 학술연구, 무안군 2017, 새천년대교 개통대응 종합계획 수립, 신안군 2017, 전라남도 광역중간지원조직간 연계·협력에 관한 기초연구, 농림부 2017, 임자대교 개통대응계획수립, 신안군 2016, 2030 강진군 경관계획, 강진군 2017, 2030 광주도시기본계획, 광주광역시 2016, 무안군 제2차 연안관리지역계획, 무안군 2015, 목포 원도심쇠퇴실태와 도시 재생방안, 한국은행 목포본부 2015, 공무원교육원 이전의 최적 강진, 강진군 2015, 완도군 도시재생전략계획, 완도군 2015, 나주시 도시기본계획(변경) 및 관리계획(재정비)수립을 위한 나주호 수변개발구상 및 타당성조사 연구, 나주시 2014, 갯벌도립공원 탐방시설정비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 닫기 메일 보내기 홍석호 직위(직급) 부교수 연구분야 도시개발·지역개발·입체도시 전화번호 061-450-2224 이메일 sukhohong@mnu.ac.kr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73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홍석호 메일 보내기 홍석호 직위(직급) 부교수 이메일 sukhohong@mnu.ac.kr 연구분야 도시개발·지역개발·입체도시 전화번호 061-450-2224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73호 학력 2007.03 ~ 2016.08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공학박사(Ph.D.) 2005.03 ~ 2007.02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공학석사(M.S.) 1993.03 ~ 1999.02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공학사 경력 2018.01 ~ 2020.02경기도 고양시 도시계획위원 2018.06 ~ 현재나주시 도시계획위원 2019.09 ~ 현재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편집위원 2017.09 ~ 현재경인교육대학교 민간투자시설사업(BTL) 성과평가위원 2013.02 ~ 2018.02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겸임교수 2009.03 ~ 2013.08고려대학교 생태환경공학부 겸임교수 2008.112008 한국건축가협회 초대작가 2007.112007 한국건축가협회 초대작가 연구실적 2016.5 ∼ 2016.8도시재생 경제 기반형 구상용역 (대전지역) 2016. 4 ∼ 2018.02대전 나눔의 숲 기본계획 및 실시 설계(현상설계 당선작) 2011.7 ∼ 2011.10아세안 자연휴양림 기본구상 및 실시설계용역 2010. 11∼ 2018.02인천 한들지구 도시개발 지구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2010. 6김포골드벨리의 생태환경디자인 개발 및 산업단지 통합이미지 개발 2010.12 ∼ 2012.02강남구 개포택지개발 가이드라인 및 정비구역지정 용역(제안평가 선정) 2009.8∼2010.10인천 강화군 강화 고려궁지 문화 특화가로 조성사업 2010.12러시아 블라디버스톡 항만재개발 마스터플랜 2007.6 - 2009.4경기도 광교 Amuse park Master plan 2007.6 - 2009.4서울특별시 중랑구 재정비 촉진계획(New Town 계획) 2009.3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도시디자인 기본계획(제안평가 선정) 저서 등 2016EunKyung Shin, Sukho Hong and Seiyong Kim“Changes in Public Perceptions of Apartments: Television and Newspaper Advertisements, 1960–2010“,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016(08). 2015Sukho Hong, EunKyung Shin and Seiyong Kim“Effects of Frequently Overriding Regulations on Urban Renewal in Seoul: A Warning”,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2015(12). 2014이상훈, 홍석호. 김세용 "이용자 중심의 민자역사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30(9):119-127. 2013홍석호, 김세용. "중복이용구역 지정을 통한 입체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9(12):209-218. 2012전강은,홍석호,김세용."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역사문화거리 조성계획".도시설계학회지,48(13),33-51 2012.10~탄소저감 도시계획 시스템 개발 2006.3 ~ 2007.3화성시 도시이미지 수립기준에 관한 연구용역 2007.9 ~ 2007.2공무원 교육원 본사 이전 기본 계획을 위한 연구 2006.10 ~ 2007.2한국가스안전공사 본사이전 기본 계획을 위한 연구 닫기 메일 보내기 정남식 직위(직급) 조교수 연구분야 농산어촌 계획 및 지역재생 전화번호 061-450-2223 이메일 nsjung2020@mnu.ac.kr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72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정남식 메일 보내기 정남식 직위(직급) 조교수 이메일 nsjung2020@mnu.ac.kr 연구분야 농산어촌 계획 및 지역재생 전화번호 061-450-2223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72호 학력 2013 ~ 2018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조경학박사) 2001 ~ 2003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조경학석사) 1994 ~ 1999 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 조경학과(이학사) 경력 2020.3 ~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도시 및 지역개발학과 조교수 2023.1 ~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교무부처장 2023.1 ~ 현재 한국농촌건축학회 편집위원 2022.10 ~ 현재 제3기 전라남도 지역혁신위원회 위원 2022.2 ~ 현재 농림축산식품부 신활력플러스사업 중앙계획지원단 위원 2022.5 ~ 현재 목포대학교 LINC3.0 부장교수 2022.7 ~ 현재 농림축산식품부 지역개발 중앙계획지원단 위원 2020.7 ~ 현재 전라남도 마을공동체 만들기 위원 2019.1 ~ 현재 한국농촌계획학회 편집위원 2021.1 ~ 2023.1 전라남도 경관위원회 위원 2016 ~ 2020.2 사단법인 지역공동체갈등관리연구소 이사 2005.10 ~ 2020.2 (주)지역활성화센터 소장 연구실적 2021, 정남식, “갈등 인식이 환경정책 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Vol.27 No.3 2021, 정남식, “공동체 의식이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관광레저학회, Vol.33 No.1 2021, 이한근, 정남식, 강성호, “B2B 시장에서 구매기업의 CSR 활동이 공급업체의 신제품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정보교환 품질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 , Vol.26 No.5 2020, 정남식, “공동체 의식이 지역관광자원관리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장성 축령산 편백숲을 중심으로”, 한국관광레저학회, Vol.32 No.7 2020, 권기덕, 정남식 “자립형 지역공동체 형성 구성요소가 주민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용산구 해방촌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Vol.32 No.1 2020, 박성택, 이태겸, 정남식 “귀농어·귀촌 인식 및 관련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퇴직 예정 서울특별시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경기연구원, Vol.22 No.4 2019, 김경옥, 정남식 “축제장으로부터 거주거리 차이에 따른 지역주민의 축제인식연구”, 관광레저연구, vol31(5), 143-164 2019, 정남식, 최은희, 김용근 "농촌 디베이트 교육이 농업농촌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vol25(3), 103-114 2019, 이태겸, 정남식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통해 본 지역재생사업의 성과와 제안”,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1(2), 159-176 2019, 정남식 “남해 다랭이 논의 협력적 관리원칙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vol37(2), 53-74 2019, 정남식 “다랭이 논 관리경계 설정에 따른 갈등양상 분석”,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1(2), 177-189 2019, 정남식 "이용자 인식조사를 통한 고궁활용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연구,관광레저연구, vol31(7), 171-191 2019, 황하청, 정남식 "도매 여행사의 공정성이 랜드 여행사의 조직몰입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vol31(6), 225-248 2018, 정남식, "관광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있어서 협력적 계획모형 적용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정남식, 김용근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공유재 관리의도 영향요인 분석”, 농촌계획, vol23(4), 169-178 2016, 정남식, 이용학, 강은지, 김용근 “청소년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도시농업 체험활동의 효과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vol23(3), 271-283 2005, 정남식, 오형은, 조중현, 김용근 "이용자 만족요인 분석을 통한 농촌 어메니티 자원평가", 농촌관광연구, vol12(1), 1-16 저서 등 2021, 연구원, 무안군 도농교류 프로그램 활성화 연구, 무안군 의회 2021, 책임연구원, 장성군 축령산권역 공동체 활성화 계획수립, 장성군 2021, 연구원, 전라남도 섬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연구용역, 전라남도 2020, 연구원, 강진군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기본계획, 강진군 2020, 연구원, 국립공원 저지대 탐방인프라 모델개발, 국립공원관리공단 2020, 연구원, 함평군 백년마을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운영관리 용역, 함평군 2019, 책임연구원, 밀양시 신활력플러스사업 예비계획 수립용역, 밀양시 2019, 책임연구원, 산촌거점권역 육성사업의 중장기 실행방안 마련 용역, 산림청 2019, 연구원, 용주골 창조문화밸리 프로젝트 주민역량강화 용역, 파주시 2019, 연구원, 거창읍 농촌중심지활성화(선도지구)사업 지역역량강화 용역, 거창군 2019, 연구원, 원미지역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용역, 부천시 2018, 책임연구원, 어촌 6차산업 융복합 자원조사 및 활용, 충남연구원 2018, 책임연구원, 나룻부리항 기본계획 수립 및 지역역량강화사업용역, 한국농어촌공사 2018, 연구원, 비안면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기본계획수립 용역, 의성군 2018, 연구원, 충주 도시재생 테스트베드사업용역, 충주시 2017, 연구원, 청양읍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선도지구) 기본계획 수립, 청양군 2017, 연구원, 지질공원 내 마을 활성화 가이드라인 수립연구용역, 국립공원관리공단 2017, 책임연구원, 내가 성곡동장이라면(부천시 성곡동 마을계획), 따복공동체지원센터 2017, 책임연구원, 신·시·모도 삼형제 보물섬 조성사업 기본계획(설계)용역, 옹진군 2017, 책임연구원, 임실천 경관정비사업 예비계획 수립용역, 임실군 닫기 메일 보내기 장성만 직위(직급) 조교수 연구분야 공간분석 · 모빌리티 · 계량모델 · GIS 전화번호 061-450-2222 이메일 sjang@mnu.ac.kr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74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장성만 메일 보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장성만 직위(직급) 조교수 이메일 sjang@mnu.ac.kr 연구분야 공간분석 · 모빌리티 · 계량모델 · GIS 전화번호 061-450-2222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74호 학력 2012.02. ~ 2017.0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공학박사 2010.02. ~ 2012.0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공학석사 2002.03. ~ 2009.08.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공학사 경력 2020.08. ~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도시 및 지역개발학과 조교수 2017.08. ~ 2018.07. University of Cambridge Embedded Researcher 2017.03. ~ 2020.08.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연구교수 2009.07. ~ 2010.02. 신동아건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2.01. ~ 현재 LH 기술심사평가위원 2022.03. ~ 현재 여수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22.11. ~ 현재 보성군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22.08. ~ 현재 신안군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22.04. ~ 현재 무안군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23.01. ~ 현재 장성군 군계획위원회 위원 2021.01. ~ 현재 장흥군 군계획위원회 위원 2023.02. ~ 현재 전남자치경찰위원회 과학치안 자문위원 연구실적 SSCI / Scopus 2023.03. (SSCI) <제1·교신>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Estimating Floating Population in Microscopic Spatial Units 2022.12. (ESCI/Scopus) <제1> Influence of Centrality Indices of Urban Railway Stations: Social Network Analysis of Transit Ridership and Travel Distance 2022.10. (SSCI) <교신> Self-Sufficiency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s (NACs) Based on Types and Commuting Characteristics of Citizens: Case Study of Sejong 2022.09. (SSCI) <교신> An Empirical Study on the Efects of Fine Dust Concentration on the Utilisation of Shared Bicycles 2021.01. (SSCI) <제1> Imbalance between local commuting accessibility and residential locationsof households by income clas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2020.04. (SSCI) <제1> Study of the regional accessibility calculation by income class based on utility-based accessibility 2017.03. (SSCI) <제1> Assessing the spatial equity of Seoul s public transportation using the Gini coefficient based on its accessibility KCI 2023.12. <교신> Analysis of the Effect of Travel Cost and Travel Time on the Choice of Personal Mobility Means and a Study on Time Value Estimation 2023.11. <교신> 도로유형이 개인용 이동장치의 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자전거 도로를 중심으로 2023.04. <교신> 자녀 양육 가구의 교육열 및 여가 여행행태의 지역별 차이 분석 2022.12. <제1> 가구의 생애주기 변화가 여성 여가활동의 공간적 패턴에 미치는 영향 실증 분석 2022.04. <교신> An Effect of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Policy Changes on Shared Personal Mobility Use 2022.04. <교신>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공유 전동킥보드의 수요 주도형 배분 방법 연구 2022.04. <교신> 코로나19 확산기 도시민의 활동감소와 민감도 변화 -서울시 생활인구를 중심으로- 2021.07. <공동> Comparative Spatial Analysis Between Inner-City Socialized Housing and Private Housing Developments in Metro Manila, the Philippines 2021.06. <제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nsity and Diversity Indicators Reflecting Network Distance in Interpret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2021.06. <제1> 공간적 형평성 개념에 근거한 도시철도망 노선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을 중심으로 - 2021.06. <제1·교신> 신규 창업점포의 밀도 및 다양성 지표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평가에 관한 연구 2019.02. <단독> 통행수단별 소요시간과 비용이 가구소득계층별 통근통행자의 수단 및 목적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효용기반 접근도 개념에 근거하여 - 2018.02. <공동> 노면전차의 장기적∙종합적 효과분석을 위한 토지이용-교통통합모델의 수원시 사례 적용 2017.12. <단독>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변화 양상에 부합하는 효용 기반접근도 산출모델 개발 연구 2017.10. <교신> 대학생의 통학통행에 기초한 수도권 행복주택 대상지의 입지분석 2016.12. <공동>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권역별 상업가로요인과 유동인구수가 상가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6.06. <공동> 점유형태 선택과 주거환경 및 주거의식의 관련성 분석 - 수도권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 2016.04. <공동> 도시철도 역세권에서 보행네트워크 기반 접근거리와 건물개발밀도의 연관성에 대한 실증 연구 2015.09. <제1> 자동차 소유가구의 대중교통비 지출비율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2015.06. <제1> 도시특성지표 기반 공간개발 패턴 추정에 관한 연구 -강남지역을 대상으로- 연구과제 2023 - 2026 (연구책임) 실생활 맞춤형 거주지 도출을 위한 삼차원 데이터 맵 기반의 주거입지 평가모델 개발 연구 <이공학개인기초> 2021 - 2022 (공동기관책임) 토지-교통 모델 연계시스템 개발과 탄소제로 달성을 위한 대중교통 연계 퍼스널 모빌리티 통행분석 모형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수립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 2020 - 2023 (연구책임) 퍼스널 모빌리티의 도입에 따른 역세권 내 통행 및 토지이용의 변화 예측 모델 개발 <창의도전연구> 2017 - 2020 (연구책임) 가구 소득계층별 통행특성에 기초한 공공임대주택 대상지 평가지표 개발 <학술연구교수지원사업> 2017 - 2020 (연구책임) 4단계 교통수요 추정모형과 공간데이터 분석기법에 기초한 역세권 주간인구 수와 분포 예측모델 개발 연구 <이공학개인기초> 저서 2017.05. 수요자 중심의 도시계획을 위한 소득계층별 통행특성분석과 지역 접근도 산출 닫기 메일 보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성은영 직위(직급) 조교수 연구분야 도시형태와 토지이용, 물리적 환경과 가로활력, 도시·부동산 빅데이터 및 융복합 연구 전화번호 061-450-2225 이메일 eyseong24@mnu.ac.kr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69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성은영 메일 보내기 성은영 직위(직급) 조교수 이메일 eyseong24@mnu.ac.kr 연구분야 도시형태와 토지이용, 물리적 환경과 가로활력, 도시·부동산 빅데이터 및 융복합 연구 전화번호 061-450-2225 사무실 사회과학관(A8) 4169호 닫기 메일 보내기